전공/데이터통신

3장 -2

twoweeks-within 2025. 4. 13. 21:48

전송손실 (impairment)

  : Tx -> Rx 동일한 신호가 전송되지않음

 

Anlaog : 잠깐 지지직,, 괜찮음 

Digital  : bit error  > packet 전달 X >전체적 통신X

 

impairment 종류

1. Attenuation(감쇠)

2. Distortion

3. Delay (Disortion)

4. Noise

 

Attenuation : 거리가 증가 -> 신호세기 감소

매체마다 f전달 범위가 다르며 f마다 감쇠정도 다름

 

    : 구리 < 광  // 빛 : 고주파까지 잘 전달

    -> repeater 간격 : 구리 < 광 

       > 구리) HW공사비용 큼  

 

사각파를 전달해서 1/2 만큼이라도 사각형으로 되려면...

FT) 모든 주파수성분(무한대)이 1/2 가 되어야함.. 

 

그림1)

but.. 주파수가 증가 > useally 감쇠 강해짐 

      > 직선이 곡선이 되어버림..

>> 저주파 유지/ 고주파 증폭 > 증폭기를 설치

// ex) 코일을 더 감는다

>> Equarization 전체적 f 평탄화 

 

Delay

 only guided medium 에서 발생 (유선)

 

 

시간영영의 delay -> 주파수영역 delay 발생

    > 신호가 지연됨에 따라 겹치는 상황발생 !

>> 빨리온놈들을 기다리게 하여 Equarization 함!

 

Noise

신호에 잡성분들이 끼는것 (insert)

 

1. Themal

(white noise) 

  :빨~보 > 모든 주파수(f, - ~ )에 noise 가 다 끼는것

N = kT (Temperature)

  : T -> 0 : 초전도체 // 개사기.. N=0 

  : T > 0  : 상온 

       > 상온에 항상 존재함

  : k : 볼트만상수

 

 

if) B = f2-f1 

    > B의 증가는 N 증가 // 직사각형 크기 증가

NB= kTB

  > Bandwidth 가 증가하면 Noise 도 같이 증가한다!

 

2. Intermodulation(회로의 비선형성)

 f1 + f2 + noise // 회로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noise 발생

// FDMA

 

3. Crosswalk 

  옛날에.. 구리선 끼리 너무 가까울경우 유도전류의 간섭으로 

   C ----- D

   A ------B

  > A----D 로 연결되어버리는 현상 

 

4. Impulse (천둥번개)

  // 짧은순간 + 고전압

 A) 잠깐 불편함 /지지지ㅣ직

 B) Big 영향 

    > ex) Data rate: 1GB bps : 3초의 번개는 3G bit의 손상임!

 

Channel Capacity: 채널용량 C

 : one chanel 에서 가능한 MAX Data rate

// noise != error 

   > 물리적 제한에 최대한의 효율을 내고싶음..

>> Nyquist Bandwidth : C=2B

   1. Noise는 없다고 가정 2. Binary signal (H/L)

>> B(hz)의 최대 전송률 : 2B bps

 

bps : 초당 몇bit 전송?  > 1/T // 1주기에 1signal

=  한주기에 H/L 2signal -> 반주기 당 하나의 signal 

> 1bit / (2/T)

>> T = 1/B(f)

  > 2B bps 

/*

Modulation(D -> A)

:  data -> simbol -> signal 표현

  000100110111 : Data

  0001 0011 0111 과 같은 simbol로 변경

  0001 : H , 0011 : M , 0111 : L 같은 signal로 변경 

   > simbol 이 많을수록 전송속도 fast // 한번에 많이 보냄 

*/

simbol     - >   bit

H , L             -> 0,1              : 1bit

H,H/2,L/2,L  -> 00 01 10 11 : 2bit   

> K bit     = log(2)M

// simbol 갯수 : M

 

> C = 2B*log(2)M bps  : 신호의 구분(simbol)이 매우 많을때

>> B ∝ C // 주파수 많이 쓰면 용량도 많이 필요 

     M C // 신호 구분(simbol) 이 많으면 용량도 커짐

<> but..  M이 무한대까지가면..

  ex) 4.99999999999, 4.9999999997 ,,,,

     > 구분이 매우 힘들어서  ERROR 발생 // != noise

      >  오류는 즉 통신X

 

Shnannon의 용량공식

  : (Thermal) Noise와 Error Rate 를 고려함

 

C = Blog(2)(1+SNR) // SNR : signal/noise

// db = 10log(10)SNR  // Power 기준

// db = 20log(10)V2/V1 // P2/P1 = (V2/V1)^2

 >> 관련예제

1. 여전히 C ∝ B 

2. signal(S) ∝ C  // noise(white noise)는 고정값

 but 너무 강하게 하면 배터리 녹음

 

 

SNR 은 log 스케일

 

C/B = log(1+SNR) : 스펙트럼 efficiency

= C를 얻고자 얼마만큼의 B를 사용했느냐 

= B 라는 자원으로 얼마만큼의 C 를 얻었는지

 // 

 

     signal > noise : 1 > C/B 가 크게증가 (전송률 상승)

<> noise > signal : 많이 낮아짐

  but Log !! // log는 0이 안나옴 >  통신은 됨!!!

     > Noise 가 아무리 많이 끼고, 거리가 엄청 멀어서 신호가 약해지더라도(감쇠 many // 특히 3차원에서는 더욱더)

      >  위성통신에서 사용!   

'전공 > 데이터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ab 02~~  (0) 2025.04.19
5장  (0) 2025.04.14
3장  (0) 2025.04.12
2장 -2  (0) 2025.04.12
CH 2.  (0) 2025.03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