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공/데이터통신 11

6장 Error 검출

Error ㄴ single : 1개 (white noise) ㄴ burst : n개 (impulse/padding)// pading : 장애물/터널 -> 신호저하 Pb : 1 bit 전송의 에러확률P1 : 1frame 이 정상도착 확률 // 1frame : l bit>P1 = (1-Pb) (1-Pb) (1-Pb) (1-Pb).... = (1-Pb)^l>>1. Pb↑ : Pl ↓2. l ↑ : P1 ↓// 1-Pb : 1보다작음 -> 너무 긴 frame : 에러확률↑ Error 확인/정정 에서 제일 좋은방법 : 한번 더 전송하기 ㄴ 효율 구림> 요약본 : Parity, CRC, Check-Sum ㄴ Tx : (data + 요약본) -> Rx: Tx의 data Rx가만든 Tx의 ..

5장 이어서

BPSK : 0, pidifferential PSK : 위상변화 -> D manchesterQPSK : 90도 삼각합수 덧셈정리 -> Cos 과 sin 으로 분리 10 11 00 01 11직렬로 넘어온 2bit 를 1bit 1bit 병렬로 쪼갬ㄴ상위1bit -> I(t) ㄴ하위1bit -> Q(t) -1 -> 01 -> 1 I(t) : 1 , 3, 5, 7, 9 BitQ(t) : 2, 4, ,6, 8,10 Bit>11 -> -1 -1ㄴ 급격한 뾰족점(고주파 튐)>> OQPSK : 반박자 밀어줌//Q(t-Tb) 라고 되어있는 I(t),Q(t) : 1,0 이아닌 -> d1,d2 로 진폭도 같이 조정 Digitization : A.data -> D.data ㄴ D.signal : NRZ,Manche..

Sampling

A : x(t) ------> B : x(t) 1. 그림1-1) 비주기합성파(우리가흔히보는형태) : 그냥 보내기 매우 복잡함2. t-domain -> f-domain : 연속 스펙트럼 / 분석,계산,변복조 용이3. original x(t) -> X(F) 구하기도 매우 복잡함.. + 컴퓨터계산도 이산적 계산함>> ADC4. Sampling! ( Fs >2Fmax) : t = nTs5. kFs 꼴로 반복적인 스펙트럼나옴 // CTFS 에서 kF0 는 기본주파수 여기서는 Sampling F :: Fs > Xs(t) = 1/T sigma X(F-nFs)>>6. LPF : 원래 주파수성분만 살려줌 > DAC

lab 02~~

MFC : gui x CString class : ANSI : 8bit -> 127 까지 유니코드 : 16bit > 2byte>> 각종문제..TCHAR : 문자 자료형 > _T(), TEXT() // macro // + 오퍼레이터 -> 문자열 추가 Format() : size set // CString LoadString() : 문자열 리소스 load > 삽입 가능 업캐스팅 : 포인터의 class -> 포인터 인자 Offset : 좌표 + PtInRect() : point 가 Rect 안에 있는지 SIZE TIME : sec > TimeSpan : 경과시간 64bit > .Format : 8byte 에 대한 view // CTime : 인자안넘겨줌 ..

5장

Encoding Data -> signal(A,D -> A,D)D data> (a) : D signal (b) :A signal // carrier 반송파사용 1. D -> D0101010 > HLHLHLH> 규칙이용0 -> H1 -> L// NRZ-L 용어)unipolar : 0V 일땐 0 1일땐 + // + 하나의 극성polar : 0V 를 기준으로 + / - 두개의 극성 이용Datarate(R) [bps]bit duration (delta) : 1bit 의 간격 = delta = 1/R // R: high > delta: low > simbol 구분 어려움modulation rate : 초당 signal elemet 수 [boad]signal element : 1bit의 이용하는..

3장 -2

전송손실 (impairment) : Tx -> Rx 동일한 신호가 전송되지않음 Anlaog : 잠깐 지지직,, 괜찮음 Digital : bit error > packet 전달 X >전체적 통신X impairment 종류1. Attenuation(감쇠)2. Distortion3. Delay (Disortion)4. Noise Attenuation : 거리가 증가 -> 신호세기 감소매체마다 f전달 범위가 다르며 f마다 감쇠정도 다름 : 구리 -> repeater 간격 : 구리 > 구리) HW공사비용 큼 사각파를 전달해서 1/2 만큼이라도 사각형으로 되려면...FT) 모든 주파수성분(무한대)이 1/2 가 되어야함.. 그림1)but.. 주파수가 증가 > useally 감쇠 ..

3장

Data Transmission : Data 를 주로쓰는이유) 저장,처리/계산,노이즈.집적,,,, 등등 전송 medium > 전자기파 1. guided (유선) : 구리선,광 2. unguided (무선) : wifi,, Direct link : 중간 도움X PC 프린터 // 물리적Point to Point : PC PC // 네트워크적 통신장비 OMuilti point : One line -> Multi device(node) sine waves(t) = Asin(2pift + phase) 파장 λ : 1cycle(주기)의 길이 > 시간관점) t 시점에서의 1주기(T) 만큼 가면 > t + T > 거리관점) t + ramda 만큼의 거리가 증가 > t + λ>> 속..

2장 -2

TCP/IP 주소 둘다 필요한 이유 1. IP주소가 필요한이유 (L3)(공인) IP adress : 고유의 Global 주소 (지구의 '나'뿐) > Host to Host > one PC: many port IP는 only one 아닌경우 : 1. 사설 IP 대역 : 인터넷에서 사용 X ,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할경우 ex) 회사 인트라넷 등 > NAT : 사설 -> 공인IP 2. 동적으로 할당해제 // 공유기에서 잠깐 사용 2. Port number > Process to Process 내 PC에 process1(app1) ,process2(app2) ,process3(app3) > TCP(L4) 에서 어떤 Process인지..

CH 2.

25.3.21 Protocol : A B 의 Rule : format(syntax) : Packet 의 Header , Payload 규격 : semantics : define (ex) Header 구조체의 1 == A 로 하자! : order : Wating, sending, data를 보내면 OK를 해주는 Protocol Architecture 를 위해서는..1. Packet의 Header에 목적지 주소2. 상대방 : Wating state // HW / SW 준비 4. endian 등 여러가지 고려 Protocol 안에도 Tasks 가 너무많음 > Layer 분리 > 한 layer 에서 error 시 딱 그 부분만 수정 가능 Service 주로 ..

Lab. 01

windows OS : GUI 멀티태스킹 vs 멀티스레딩멀티태스킹: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개념 (ex. 음악 들으면서 문서 작성).멀티스레딩: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개념(ex. 채팅 프로그램에서 Send와 Receive를 각각 별도 스레드로 실행) 3. API & DLLAPI 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OS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해 제공하는 함수. 예: PrintDocument(), CreateWindow() 등.DLL (Dynamic-Link Library)API 가 구현된 .dll 파일장치 독립성(Device Independence)OS → API → Device Driver → Hardware (프린터, 마우..